강아지 뾰루지 여드름 농피증 차이점
강아지 뾰루지 여드름
목차
여드름 증상
- 여드름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작고 붉은 돌기나 블랙헤드(피지)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노란 고름이 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해서 농피증과 헷갈리기도 합니다.
- 눈에 보이는 작은 돌기 외에도 강아지가 가렵거나 욱신거리듯이 약간 아플 수 있습니다.
- 해당 부위를 긁거나 문지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 주로 강아지의 턱과 입술 주변에 많이 생기는데 여드름이 발생한 부위에 털이 빠지기도 합니다.
여드름 치료
여드름 주의 사항
- 여드름이 한 두군데에서 발견되었을 때 빠르게 처치하거나 다른 부위로 퍼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평소 얼굴과 턱 주변을 닦아 줄 때 깨끗한 손수건으로 잘 닦고 바싹 말려주면 좋습니다.
- 수의사와 상의 없이 알코올을 사용하거나 처방받지 않은 시중의 연고를 발라주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강아지 뾰루지 농피증
농피증의 원인
외부 기생충에 의한 농피증
벼룩, 진드기, 집 진드기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알레르기
환경 관련 문제의 알레르기 반응이나 음식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여기서 환경적 알레르기는 집 진드기, 먼지, 꽃가루 등이 해당합니다.
내분비 장애
부신피질항진증(쿠싱병) 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질환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면역 억제
화학요법이나 스테로이드와 같은 특정 약물의 투여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물리적 요인
외상이나(찰과상) 물린 상처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습한 환경
곰팡이나 수분에 계속 노출되는 환경, 또는 샤워 후 잘 말려주지 않으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영양 부족
피부 건강과 감염 저항력에 영향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농피증의 증상
- 피부에 붉은 돌기나 농포가 생깁니다.
- 피부가 벗겨지고 특정 부위에 탈모가 생깁니다.
- 피부색이 변하고 과하게 털이 빠집니다.
-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가려움증(소양감)이 심해집니다.
- 농피가 터지면서 노란 딱지가 생겨 비듬처럼 떨어집니다.
- 처음에는 한 두군에 발견되다가 시간이 지나고 번질 수 있습니다.
농피증의 치료
- 약물 치료
항생제를 복용할 수 있으며 간지러움이 심하면 스테로이드가 조금 섞인 약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 항균 치료
국소 항균제 또는 약용 샴푸 등의 처방이 있을 수 있으며 천연 샴푸 등으로 케어해주기도 합니다. - 건강 검진
농피증의 원인이 알레르기나 내분비 장애의 문제라면 식습관 개선과 근본적인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 검사와 혈액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농피증 주의 사항
농피증의 증상을 여드름이나 혹은 단순 피부 발진으로 판단하여 가정에서 자가 치료를 하거나 처방 없이 구매한 약용 샴푸로 케어하기 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농피증의 원인이 환경이나 위생, 알레르기 문제가 아닌 내분비계의 문제일 수 있으니 정확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농피증 예방
샤워 후 털을 바짝 말리기
계절별 습도 관리
- 습한 여름과 건조한 겨울에는 습도 조절이 필수입니다.
- 강아지의 피부는 사람과 달라서 무척이나 얇고 예민합니다.
- 여름에는 제습기나 냉방기의 사용으로 습도를 조절해 주시고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겨울에는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좁은 공간에서 가습기를 너무 오래 사용하면 적정 습도 이상으로 습도가 올라갑니다.
- 그럴 때 강아지나 사람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알레르기 검사하기
주기적인 건강검진
외부 구충 꼭 하기
강아지 뾰루지 여드름과 농피증 차이점

여드름과 농피증 차이점
- 강아지의 여드름은 모낭이 막혀서 발생하는 반면, 농피증은 세균 감염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강아지의 여드름은 일반적으로 턱과 입술에 농피증은 강아지의 몸 여러 군데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쉽게 번지기도 합니다. 특히 피부가 접힌 부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 여드름은 톡 튀어나온 종기, 혹은 돌기처럼 보이고 가운데에 블랙헤드가 박혀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농피증은 뾰루지처럼 보이지만 붉고 가운데 고름이 차 있습니다. 간혹 고름이 터져 노란 딱지가 앉아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치료 방법으로 여드름은 주로 해당 부위의 소독이나 약용샴푸의 처방을 받게 되며 농피증은 항생제의 처방이 많이 사용됩니다.
강아지 뾰루지 관련 글
[visual-link-preview encoded=”eyJ0eXBlIjoiaW50ZXJuYWwiLCJwb3N0Ijo0MDE1LCJwb3N0X2xhYmVsIjoi6riAIDQwMTUgLSDqsJXslYTsp4Drho3tlLzspp0gLSDsm5Dsnbjqs7wg7Kad7IOBIiwidXJsIjoiIiwiaW1hZ2VfaWQiOjQwMTYsImltYWdlX3VybCI6Imh0dHBzOi8vbGVhLWxpb24uY29tL3dwLWNvbnRlbnQvdXBsb2Fkcy8yMDIzLzA5LzAwMS0xLndlYnAiLCJ0aXRsZSI6IuqwleyVhOyngOuGje2UvOymnSAtIOybkOyduOqzvCDspp3sg4EiLCJzdW1tYXJ5Ijoi6rCV7JWE7KeA64aN7ZS87Kad7J20656AIOustOyXh+ydvOq5jOyalD8g67CY66Ck6rKs7J2YIO2UvOu2gOuKlCDsgqzrnozsnZgg7ZS867aA7JeQIOu5hO2VtOyEnCDsl7Dslb3tlanri4jri6QuICIsInRlbXBsYXRlIjoic3BvdGxpZ2h0In0=”]
[visual-link-preview encoded=”eyJ0eXBlIjoiaW50ZXJuYWwiLCJwb3N0Ijo0MDIxLCJwb3N0X2xhYmVsIjoi6riAIDQwMjEgLSDqsJXslYTsp4Drho3tlLzspp0gLSDsuZjro4wg67Cp67KV6rO8IOybkOyduOygnOqxsCIsInVybCI6IiIsImltYWdlX2lkIjo0MDI0LCJpbWFnZV91cmwiOiJodHRwczovL2xlYS1saW9uLmNvbS93cC1jb250ZW50L3VwbG9hZHMvMjAyMy8wOS8wMDEtMi53ZWJwIiwidGl0bGUiOiLqsJXslYTsp4Drho3tlLzspp0gLSDsuZjro4wg67Cp67KV6rO8IOybkOyduOygnOqxsCIsInN1bW1hcnkiOiLrho3tlLzspp3snYAg7IS46reg7ISx6rCE7Je87Jy866GcIOybkOyduOydtCDri6TslpHtlanri4jri6QuICIsInRlbXBsYXRlIjoic3BvdGxpZ2h0In0=”]
[visual-link-preview encoded=”eyJ0eXBlIjoiaW50ZXJuYWwiLCJwb3N0Ijo0MDM5LCJwb3N0X2xhYmVsIjoi6riAIDQwMzkgLSDqsJXslYTsp4Drho3tlLzspp0gLSDroIjslYTsnZgg64aN7ZS87KadIOy5mOujjCDtm4TquLAiLCJ1cmwiOiIiLCJpbWFnZV9pZCI6NDA0MiwiaW1hZ2VfdXJsIjoiaHR0cHM6Ly9sZWEtbGlvbi5jb20vd3AtY29udGVudC91cGxvYWRzLzIwMjMvMDkvMDAxLTUud2VicCIsInRpdGxlIjoi6rCV7JWE7KeA64aN7ZS87KadIC0g66CI7JWE7J2YIOuGje2UvOymnSDsuZjro4wg7ZuE6riwIiwic3VtbWFyeSI6IuydtOuyiCDsl6zrpoTsnYAg7IOB64u57Z6IIOuNpeqzoCDsirXtlojsirXri4jri6QuIOqyrOyDnTbrhYTssKjsnbgg66CI7JWE64qUIOygnOqwgCDtgqTsmrDqs6Ag7J6I64qUIOuwmOugpOqyrOyeheuLiOuLpC4gKOuqsO2LsOymiC8yLjVrZy/shoztmJXqsqwpIOugiOyVhOulvCDtgqTsmrDrqbTshJwg7LKY7J2M7Jy866GcIOuGje2UvOymneydhCDslYzqsowg65CY7JeI64qU642w7JqUICIsInRlbXBsYXRlIjoic3BvdGxpZ2h0In0=”]
강아지 뾰루지 관련 영상
영상 출처 : 우리동네 수의사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watch?v=ViPAkXez3kA
반려견에게 여드름이 난다? 강아지 농피증의 진단과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