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양육비2편-소형견양육비지출 말티즈 레아의 지출 내역 공개

반려동물양육비 소형견 레아의 양육비지출내역공개
반려동물양육비 소형견 레아의 양육비지출내역공개

반려동물양육비 1편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월 평균 양육비와 지출내역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편 반려동물양육비 통계청 발표 월 평균 15만원?

펫 푸드인 사료와 간식 영양제, 그리고 펫 헬스에 해당하는 동물병원과 케어비용, 그리고 펫 서비스인 미용과 기타 지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려동물양육비 2편에서는 실제 사례를 토대로 얼마나 지출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대상은 제가 키우고 있는 반려동물 (개) 레아(LEA)입니다.
저는 대부분 매달 가계부를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얼마나 지출되는지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상황에 따라 혹은 브랜드에 따라 금액의 변동은 있었지만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이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기간은 2023년 1월부터 ~ 8월까지의 카드내역과 네이버페이(주거래)의 거래내역을 참고해서 작성하였습니다.


반려동물양육비 – 소형견 몰티즈 레아

레아 소개 및 특징에 대한 설명이미지
레아 소개 및 특징에 대한 설명이미지

레아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키우는(2023년기준) 견종인 몰티즈입니다. 털이 잘 빠지지 않으며 앙칼지지만 애교많은 강아지입니다. 실내, 실외에서 배변을 하며 주로 집에 있을때는 실내배변을 합니다.

※ 실내배변(배변훈련을 통해 배변패드를 사용함)
※ 실외배변(실내보다는 실외에서 배변활동을 함, 비가오나 눈이오나 나가서 볼일을 봐야함)

입이 짧고 가리는 음식이 많으며 소고기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습니다.
몰티즈 견종 유전질환인 슬개골 탈구로 인해 이미 양쪽 다리를 수술하였고 중성화 수술도 마쳤습니다.
레아는 같은 품종의 다른 강아지에 체구가 작고 다부진 몸매입니다. 또 다리와 머즐이 짧습니다.

※ 강아지의 얼굴에서 미간부터 코 끝까지의 길이를 말합니다.


반려동물양육비 – 필수지출과 변동성지출

반려동물양육비 지출항목
반려동물양육비 지출항목

레아의 지출항목을  매달 필수로 지출되는 고정지출 항목과 변동성이 큰 지출 항목으로 나누어봤습니다.

필수로 지출되는 항목은 먹거리와 동물병원진료비, 그리고 미용과 위생용품이었습니다.

레아는 매달 사료와 자연식을 병행하여 섭취하고 있으며 간식은 꾸준하게 비슷한 양을 구매하였습니다.
동물병원은 매달 1회이상 방문하였고 사상충(내,외부)약은 규칙적으로 구매하였습니다.
미용도 마찬가지로 매달 1회이상 방문하였으며 대부분 위생과 전체미용을 하였습니다.
그 외에 배변용품과 미용케어용품 그리고 장난감을 규칙적이지는 않았지만 매달 구매한것으로 확인했고 변동성이 있었지만 의류와 산책용품, 기타 반려동물 용품을 구매했습니다.

이번에 지출내역을 확인하면서 예상외로 지출이 크며 또 다양한것을 확인했습니다. 확인해 보기 전까지는 반려동물 양육비에 큰 지출이 없다고 생각했었는데요, 대략적으로 계산해봐도 통계청 발표인 평균 15만원을 크게 웃도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금부터는 지출의 세부내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레아의 지출 세부내역에는 금액의 정확성을 위해 브랜드명을 표기하겠습니다. 용량에 따른 가격은 브랜드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반려동물양육비 – 펫푸드 사료와 간식 그리고 영양제

반려동물양육비지출펫푸드 사료와 자연식 간식 영양제
반려동물양육비지출펫푸드 사료와 자연식 간식 영양제

레아는 먹거리에 한달 평균 23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레아는 사료와 자연식을 혼합하여 섭취하고 있습니다. 오전 8시에 한번 오후 6시에 한번 급여하고 있으며 사료는 대략 종이컵 1컵에 못미치는 분량, 그리고 자연식은 50g을 섭취합니다. 사료는 1.5kg을 한달에 다 소비하지 못하지만 미리 구매하는 편입니다.
자연식의 경우 친구의 소개로 급여하기 시작했지만 사료만 섭취했을때 보다 자연식도 섭취했을때 레아의 컨디션과 배변활동이 수월한것으로(개인적인판단입니다.) 판단되어 추가로 급여하고 있습니다.
레아가 먹는 량은 평균 2kg대의 강아지 보다 약간 적게 먹는 편입니다. 정량에서 남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사료 :로얄캐닌의 세타이어티 스몰독(다이어트처방사료, 섬유질풍부) 1.5kg을 병원에서 구입
■ 자연식 : 맛밀 50g 30개 온라인구매
※ 사료와 자연식의 양은 반려견의 몸무게와 필수섭취량에 따라 다릅니다. 레아는 2kg ~ 3kg에 속함

레아는 시중에 판매하는 딱 1가지의 종류의 간식만 먹고 있습니다. 그 어떤 간식도 먹지 않으며 처음 입양했을때 당시 먹었던 저키만 고집하며 다른 간식은 거부하고 있습니다.
(강아지용 소세지, 우유, 뼈간식등등 모든 간식을 거부)
고집하는 간식 외에 가끔 수제로 만들어주는 간식을 먹기는 합니다.
(닭가슴살 건조간식 외 먹지 않음)
레아는 간식을 줄때 노즈워크(종이컵,장난감, 인형)를 할때와, 훈련의 칭찬으로 줍니다.
일부 가정에서는 아예 시중에 파는 간식을 주지 않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 레아가 먹는 간식의 금액은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 간식 : LG생활건강 시리우스 윌 황태,연어 100g 평균 6매 온라인구매

레아는 영양제는 매달 꼭 먹이는 편입니다.
눈,관절,심장,기관지,피부에 대한 영양제를 섭취하는 편이며 영양제 성분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도 있어서 조심히 섭취해야합니다.
레아는 눈이 약합니다. 미세먼지가 많은날이나 모레로 되어있는 운동장 그리고 도로 옆 도보로 산책하게 되면 어김없이 눈이 충혈됩니다.
또 몰티즈의 유전질환인 슬개골 탈구로 이미 양쪽 다리는 수술한 상태이며 머즐이 짧아 기관지협착증세도 미세하게 있습니다. 또 피부가 약한편이라 피부 영양제도 추가하였습니다.

■ 관절, 심장, 눈, 기관지, 피부 영양제 : 전 제품 모두 닥터바이 온라인구매
※ 영양제의 급여량도 몸무게에 따라 다릅니다. 레아는 3kg미만의 섭취량에 맞게 급여합니다.

※ 참고
모든 강아지들이 매달 자연식과 영양제, 시중에 파는 간식을 구매하는 것은 아닙니다.
레아를 4년 넘게 양육하면서 레아의 건강상태와 입맛에 맞는 음식을 급여하는 것 뿐 필수사항은 아닙니다. 또 유전적 질환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 건강검진과 영양제를 급여하는 것이지 모든 강아지가 영양제를 먹는것은 아닙니다. 영양제는 4살부터 먹이기 시작했습니다.

 

외에 추가 적인 지출은 때에 따른 특식이외에는 거의 없습니다.

■ 특식 : 순살 가자미 오븐구이, 단호박 구이, 돼지고기 삶은것 등 이외의 음식은 거의 먹지 않습니다.

 


반려동물양육비 – 동물병원 사상충과 기타진료

반려동물양육비 동물병원비 기타진료
반려동물양육비 동물병원비 기타진료

레아는 한달에 한번 이상 정기적으로 동물병원에 방문합니다.

  1. 심사상충(내부,외부 구충제) 약을 먹이기 위함
  2. 안약, 소독제 처방

레아는 구충제인 넥스가드를 매달 섭취하고 있습니다. 넥스가드는 강아지의 심장사상충과 내부, 외부 구충제입니다. 심장사상충 뿐만 아니라 진드기, 벼룩, 장관내기생충까지 한번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실외견뿐만 아니라 실외견에게도 구충제는 꼭 필요합니다.
※ 구충제의 경우 몸무게에 따라 금액이 다릅니다. 3kg미만 19.000원
(다른 의견이 있을 수도 있지만 동물병원의 의사 소견에 따릅니다.금액은 병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레아는 산책시 조금만 먼지가 많거나 눈에 이물이 들어가면 쉽게 간지러워하고 충혈되는 편입니다. 또 털이 자라서 눈을 찌르거나 해도 충혈됩니다. 병원에서 인공눈물처럼 아주 약한 안약을 처방받아 수시로 넣어주고 있습니다. 또 발가락 사이에 습진이 자주 발생해서 소독제와 연고를 처방받습니다.
여기까지는 대체로 예상 가능한 지출입니다.

레아는 1월부터 8월까지 추가 진료를 본적도 많았습니다.
원인을 모르는 장염에 걸려서 고생한적도 있으며(약 3일치 처방 + 진료비 + 주사: 58.900원)
농피증으로 인해 스테로이드제 항생제를 처방받은적이 있었고 (총 10일치 + 주사  :89.000원)
갑작스레 눈에 열감이 있고 기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병원에 갔더니 안압이 올라 약물치료를 한적이 있습니다. (진료비 + 안압검사비 + 안약 + 녹내장검사비 : 219.000원)
또 항생제 투여, 투약으로 인해 음수량이 늘고 소변량이 많아져서 다른 약으로 교체한적이 있었고, 교체하였는데도 변화가 없어 초음파 검사를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외에도 농피증에 의한 추가 진료와 장염에 대한 추가진료가 있었으며 평균 4만원대였습니다.

사상충과 구충제 그리고 안약과 소독제를 제외한 나머지 병원을 방문했던 이유는 예상치 못했던 내.외과 진료였습니다. 그 외에 건강검진 비용은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반려동물양육비 – 미용과 위생

반려동물양육비 미용비용 위생미용비용
반려동물양육비 미용비용 위생미용비용

레아는 미용 (털을 자르거나 발톱등을 잘라주는 것. 이외 모든 위생)에도 고정지출이 있습니다.
홈케어(집에서 미용과 위생을 관리해줌)를 하는 가정도 있지만 저는 미용샾에서 관리를 해주고 있습니다. 매달 1회 이상을 미용과 위생미용으로 지출하고 있습니다.

레아는 평균적으로 막 따듯해 지는 시기인 4월부터 ~ 추운 가을이 오기 전인 9월까지는 대부분 짧은 미용을 선호합니다. 피부에 문제가 있지 않는 이상 털길이 1cm ~ 2cm를 유지합니다.
이것은 보호자 선호도에 따라 그리고 보호자가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달라집니다.
저는 자주 목욕을 시키는 편이고 집의 온도는 계절 상관없이 늘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여름에는 거의 에어컨을 틀어 20도 ~ 22도 사이입니다.
10월부터 3월까지는 레아가 추위를 많이 타기 때문에 털 길이를 길게 길러주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렇다고 마냥 길러주는 것은 아니고 가위로 손질하는 가위컷미용을 하게됩니다. (평균 7만원이상)

그리고 추가적으로 위생미용을 합니다. 항문낭관리, 발톱, 발바닥 털, 생식기 주변과 배의 미용, 얼굴미용과 목욕등 대략 2주에 한번씩 진행합니다. 주로 발톱과 생식기주변털, 얼굴미용인데 발톱은 레아가 전체 미용할때 상황에 따라 자르지 않기도 하며, 생식기주변털은 위생을 위해 자주 해주는 편입니다.
얼굴미용은 몸길이와는 상관없이 자주 합니다. 눈 주변의 털이 눈을 찌르게 되면 눈을 자주 긁고 충혈되기 때문입니다.

※ 미용은 필수로 해야하는것은 아닙니다. 또 견종과 보호자의 선호하는 스타일, 그리고 보호자가 케어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레아의 경우는 제가 케어할 수 없어서 샾을 이용하는것이고 의외로 많은 보호자들이 미용부터 모든 케어를 직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미용 가격 역시 몸무게에 따라 다릅니다. 레아는 3kg이하 기준입니다.
당연하지만 미용샵에 따라 가격이 다릅니다.


반려동물양육비 – 그외 기타 지출

반려동물양육비 기타 기출 내용
반려동물양육비 기타 기출 내용

먹거리와 병원비 그리고 미용에 서비스 비용을 제외하고도 몇가지 규칙적으로 발생한 지출이 있었습니다. 바로 장난감비용과 용품에 대한 비용입니다.

레아의 경우 하루에 꽤 장시간 산책을 함에도 너무나 활발한 강아지입니다.
산책외에 대부분의 시간을 자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강아지입니다.
장난감은 레아의 경우 대부분 노즈워크(냄새로 숨겨진 간식을 찾는 장난감)용품이 대부분입니다.
장난감은 코로 킁킁거리면서 간식을 꺼내먹으면서 이빨도 사용하고 물고 흔들때도 있습니다.
대부분 한달 가지고 놀면 낡기 마련입니다. 또 종이컵으로 노즈워크 활동을 해주는데요 사용하는 양이 꽤 됩니다. 그래서 종이컵과(1박스) 장난감은 수시로 구매하는 편입니다.

※ 노즈워크 : 개가 코를 사용하는 모든 후각활동
개는 사냥감을 추적하던 본능때문에 후각이 무척 발달해 있으며 후각의 활동이 퇴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산책도 노즈워크(후각활동)의 일종입니다.
산책과 장난감을 이용한 노즈워크 활동은 숨겨져 있는 간식과 냄새를 맡으며 고민하고 생각하게 하는 것 자체가 높은 활동력을 주며 개들의 본능적인 욕구해소와 스트레스 완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레아는 실내배변을 하는 강아지입니다.
산책할때도 배변활동을 하지만 대부분 집에서 생활하면서 배변패드(강아지전용)에 배변활동을 합니다.
배변패드는 소형으로 매달 100장에서 120장 정도를 사용하며 산책의 횟수가 적은 겨울철이나 한 여름에는 더 많이 사용합니다.
레아는 다른 가정에 비해(레아친구들을 보면) 배변패드를 많이 사용하는 편에 속합니다.
소형패드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두껍고 흡수율이 높은 배변패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단 한번 사용후 바로 교체하는 편입니다. 레아는 발을 자주 핥는 편이고 습진도 있습니다. 발에 소변이 닿으면 핥는 경우가 많아서 양과 상관없이 보이면 무조건 교체하는 편입니다.

마지막으로 미용용품입니다. 2달 혹은 3달에 한번씩 구매하는 편이지만 상황에 따라 매달 구매하기도합니다.
머즐이 짧은 레아에게 맞는 눈꼽빗(눈밑의 털을 빗는용도)을 자주 세척하지만 또 자주 교체하는 편이고
목욕후에 털에 뿌리는 미스트와 보습제를 구매합니다. 또 산책을 자주 하고 주로 공원(아스팔트)을 자주 걷고 뛰는 레아의 발에 바르는 로션을 구매합니다. 그리고 산책후의 발을 씻겨주는 풋샴푸를 구매했습니다. 산책을 오래하게 되면 발바닥 패드가 까지는 경우가 많았고 산책후 물로 씻겨줄때 보다 풋샴푸를 사용했을 때 습진이 덜하다고 판단해서 구매합니다.

※ 미용용품도 선택사항입니다.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며 반려견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저의 경우 레아의 피부가 약하고 털이 눈을 자주 찌르며, 발바닥이 상하는 경우가 많아서 구매합니다.

이것 외에도 레아에게 지출된 비용이 있었습니다. 고정적이지는 않았지만 조사 기간내 발생한 지출입니다.

계절에 따라 혹은 상황에 따라 의류를 구입한적이 있었으며 하네스와 리드줄을 교체한적도 있었습니다. 또 인식표가 손상되어 인식표를 구매한적도 있었으며 쿠션과 쿨매트(여름용)을 구매한 적이 있습니다.


 

반려동물양육비 – 총 정리

 

1편에서 반려동물의 평균 양육비와 지출항목에 대해 알아보았고 2편에서는 제가 키우는 레아에게 얼마나 지출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visual-link-preview encoded=”eyJ0eXBlIjoiaW50ZXJuYWwiLCJwb3N0IjozNzQ3LCJwb3N0X2xhYmVsIjoi6riAIDM3NDcgLSDrsJjroKTrj5nrrLzslpHsnKHruYQx7Y64IC0g6rCV7JWE7KeAIO2CpOyasOuKlCDruYTsmqkg7JuUIDE166eM7JuQPyIsInVybCI6IiIsImltYWdlX2lkIjozNzQ4LCJpbWFnZV91cmwiOiJodHRwczovL2xlYS1saW9uLmNvbS93cC1jb250ZW50L3VwbG9hZHMvMjAyMy8wOC8wMDMuanBnIiwidGl0bGUiOiLrsJjroKTrj5nrrLzslpHsnKHruYQx7Y64IC0g6rCV7JWE7KeAIO2CpOyasOuKlCDruYTsmqkg7JuUIDE166eM7JuQPyIsInN1bW1hcnkiOiLthrXqs4Tssq0g67Cc7ZGc7JeQIOydmO2VnCDrsJjroKTrj5nrrLwg7YKk7Jqw64qUIOyWkeycoeu5hOuKlCDsm5QgMTXrp4zsm5DsnbTrnbzqs6Ag7ZWc64ukLiAg6rCA7J6lIOunjuydtCDsp4DstpzrkJjripQg7ZWt66qp7J2AIOyCrOujjCjrqLnqsbDrpqwp6re466as6rOgIOuPmeusvOuzkeybkOu5hOyYgOuLpC4iLCJ0ZW1wbGF0ZSI6InVzZV9kZWZhdWx0X2Zyb21fc2V0dGluZ3MifQ==”]

레아의 경우 통계청의 평균 양육비(15만원)에 크게 웃돌았습니다.

사료와 간식 영양제에 고정으로 사용되는 지출은 233.150원 이며
동물병원 고정방문에 따른 지출은 51.000원, 고정 미용비 49.000원, 배변용품 35.000원 
총 고정지출 비용은 368.150원이었습니다.

레아의 경우 사료외에 자연식과 영양제의 금액이 높았고, 동물병원에서 사상충을 제외한 안약과 소독제의 처방이 추가 되어 통계청 평균 비용보다 높았다고 생각합니다.

한가지 알아두어야 할 것은 앞에서 소개했듯 레아의 경우는 2.5kg의 작은 소형견의 기준입니다.
파트별로 설명드렸지만 반려동물의 사료와 병원 처방약, 미용, 용품은 체중에 따라 달라집니다.

반려동물의 몸집에 따라 먹는양이 다를것고, 그에 맞는 사료의 가격과 간식의 가격이 다를것입니다.
또 앞서 설명드린것처럼 구충제의 가격과 미용의 가격도 체중별로 다릅니다.
배변패드도 레아는 소형견이기 때문에 소형패드를 사용한것이지 다견가정이나 중대형견은 대형의 패드를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의류도 마찬가지입니다. 소형견(xs ~ sm)의 옷 가격과 중대형견의 옷 가격은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브랜드 별로 다르긴 합니다.)
쿠션도 마찬가지입니다. 작은 체구의 강아지가 사용하는 쿠션과 중 대형견의 강아지가 사용하는 쿠션의 가격이 다릅니다.
만약 레아와 같은 내용의 지출을 하는 또 다른 반려동물이 10kg이라면 총 지출금액은 다를 것입니다.

※ 여기서 한가지 참고해야 할 사항은 필수적으로 지출해야하는 사료나 병원외에는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구매합니다. 모든 보호자가 같은 내용,같은 제품의 지출을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반려동물양육비 3편에서는 여러 사례를 찾아봤습니다.
소형견,중형견,대형견의 지출사례 그리고 다견가정과 반려묘 가정의 지출사례를 알아봤습니다.

레아의 인스타그램 친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으며 실제 지출 내역의 공개를 허락해준 가정에 대해서만 작성하였습니다.

3편에서는 각기 다른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정에서는 매월 얼마나 지출하고 있는지 그리고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어하는 분들에게 꼭 전하고 싶은 메세지를 담았습니다.

 

3편 바로가기